-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
Copy path[리눅스 마스터 1급] 2019-03-16 기출 정리
345 lines (216 loc) · 8.48 KB
/
[리눅스 마스터 1급] 2019-03-16 기출 정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리눅스 배포 순서
1992 - SLS
1993 - Slackware, Debian
1994 - SUSE, Redhat
2003 - CentOS
2004 - Ubuntu
---
라이선스 4가지
1. GPL
- src 수정 O
- 재배포 상업 O
- (가장 큰 특징) 재배포 시 src 공개 의무 O
2. BSD
- 수정본의 재배포 의무사항이 아님(?)
3. APACHE
- 재배포 시 src 공개 의무 X / 라이선스 명시 의무 O
4. MPL
---
아두이노 vs.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 이탈리아
라즈베리파이
- 영국
- 학교 및 개발도상국엣거 기초 컴퓨터 과학 교육 증진 위해 개발
- 싱글 보드 컴퓨터
---
PV -> VG -> LV
PE : LVM이 물리적 저장공간(PV)을 가리키는 단위(4MB)
LE : LVM이 논리적 저장공간(LV)를 가리키는 단위. 기본 단위는 물리적 범위와 동일
VGDA(Volume Group Descriptor Area)
- 볼륨그룹의 모든 정보가 기록되는 부분.
- VG의 이름, 상태, 속해있는 PV, LV, PE, LE의 할당 상태를 저장
- VGDA는 각 물리볼륨의 처음부터 저장된다.
---
RAID
어떤 기능인지, 효율성(사용 가능한 디스크의 비율)
RAID 0
RAID 1
RAID 2
RAID 3
RAID 4
RAID 5
RAID 6
---
시그널(signal)이 발생하는 키 조합
ctrl + c : 시그널 2 SIGINT
ctrl + \ : 시그널 3 SIGQUIT
crtl + z : 시그널 20 SIGSTP
SIGHUP : 프로세스 제어 터미널이 종료될 때
SIGINT : Ctrl + c / DELETE
SIGQUIT : Ctrl + \
SIGSTSP :
로그아웃과 같이 터미널에서 접속이 끊겼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이다.
데몬 관련 환경 설정 파일을 변경시키고 변화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재시작할 때 이 시그널이 사용된다.
ctrl + d : 터미널 창 종료(하지만 시그널은 발생 X?)
---
환경변수
- set/unset : 로컬 환경변수 조회/해제
- env/export : 글로벌 환경변수 조회/설정
set을 통해 조회 시 로컬, 글로벌 전부 보임
env를 통해 조회 시 글로벌만 보임
---
X 프로그램
xhost : 호스트 기반 인증
xauth : 사용자 기반 인증
xauth Xauthority 파일 관련 명령어로 ~/.Xauthority 파일의 내용인
MIT-MAGIC-COOKIE 값을 보여주거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 중 원격지에서 X 클라이언트를 이용하기 위한 설정을
사용자 기반의 키 인증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와 관련 파일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xauth, .Xauthority
-
X 관련 프로그램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Xfce
- GTK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유닉스 및 리눅스 계열의 데스크탑 환경
KWin : KDE 구성요소 중 윈도우 매니저를 Kwin이라고 한다.
KDE 환경 - Kwin, Metacity, Mutter
- Kwin : KDE의 윈도우 매니저
- Metacity는 GNOME 2의 윈도우 매니저
- Mutter는 GNOME 3의 윈도우 매니저
KDE vs. GDE , DE?
답이 Xfce인 이유는?
Xfce는 DE로 데스크탑 환경이다.
하지만 나머지는 전부 윈도우 매니저이다.
---
파일 유형
b : 블록 디바이스 장치 ex) 하드디스크, CD/DVD
c : 문자 디바이스
d : 디렉터리
- : 일반 파일(ELF)
l : 소프트 링크 파일(바로가기 파일)
---
telnet, rlogin 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적지만
반드시 서비스를 해야 하는 경우에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가 가능하다.
데몬은 standalone / xinet로 나뉜다.
- standalone
- 항상 준비되어 있는 프로세스
-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항상 메모리에 상주해서 빠른 응답 가능 but 메모리 효율 X
- init.d, sendmail, apache, mysql, bind(name server), nfs, ...)
- inetd
- 요청 시, 준비하는 프로세스
- 필요한 경우에만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 so 메모리 효율 O
- xinet.d, telnet, POP3, ...
fork와 exec는 프로세스 생성/전환 함수이고, inetd와 standalone은 데몬이다.
---
history 명령어
history 5 : 최근 5개 출력 / history -5 (X)
history -w result.txt : result.txt 파일에 history 결과 모두 저장
history -c : history 모두 삭제
!! : 바로 직전 명령어 수행
!숫자 : 숫자 번째 들어간 명령어 수행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에 기록할 수 있는 설정 값으로 틀린 것은?
기록 O : DNS1, NAME, PEERDNS
기록 X : NETWORKING
/etc/sysconfig/network에서 사용
NETWORKING = yes (통신이 되도록 지원할 것가 여부 yes or no)
지속적으로 IP 정보를 이용하려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을
수정해줘야 한다.
$ ifconfig eth0 192.168.12.22 netmask 255.255.255.0 up
: 해당 ip와 netmask로 활성화
$ route add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 eth 0
: eth0의 네트워크 설정 경로
$ route add default gw 192.168.12.1
: 해당 ip를 default gw로 설정
---
국제 관리 기구
ICANN(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인터넷 DNS 기술 관리, IP 주소 공간 할당
W3C : 웹 표준 개발 기구
---
OSI 7계층
전송 계층은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connection) 기능을 제공하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
cron
/var/spool/run : 각 사용자들의 cron 설정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var : 시스템 운용 중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임시 디렉터리
- /var/log : 거의 모든 시스템 로그 파일
- /var/named : DNS의 zone 설정 파일
- /var/spool/mail : 메일 파일
- /var/spool/cron : 크론 설정 파일
/etc :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터리
분시일월요일
1,3,5 0 * * 0 /etc/work.sh
0 1,3,5 * *
---
계정 관리
# usermod -L user
그룹 관리
-g : 새로운 사용자의 그룹 지정
-G : 사용자를 포함할 그룹 지정
usermod : 사용자 셸, 홈 디렉터리, 그룹, UID, GID 등 사용자 설정을 변경
-g : 그룹 변경
-G : 추가 보조 그룹을 지정
---
사용자 패스워드에 적용되는 해시 알고리즘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파일?
답: /etc/login.defs
/etc/passwd : 계정 정보 담은 텍스트 파일
/etc/shadow :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저장
/etc/login,defs : 사용자의 계정 설정과 롼련된 기본 값을 정의한 파일
/etc/default/useradd : useradd 명령어로 사용자 계정 추가할 때 설정할
기본정보 저장 파일
해시 알고리즘 이름 확인: /etc/login.defs
해시 알고리즘 ID 확인 : /etc/shadow
encrypt_method 설명에
This define the system default encryption algorithm for encrypting passwords
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
chown : 사용자 및 그룹의 소유권을 변경
$ chown [option] owner[:group][파일명]
chgrp : 그룹의 소유권만 변경(?) - 소유 그룹만 변경을 말하는건가?
---
오류 확인을 위해 해당 패키지 파일이 설치하는
파일 및 디렉터리를 확인하려고 한다.
$ rpm -qfp nmap-5.51.6.el6.i386.rpm
-q : 질의 시 꼭 써야하는 옵션(query)
-i :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 출력(information)
-l : 패키지에 포함된 모든 파일 출력(list)
-p : 패키지의 파일에 대한 정보 출력
-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목록 출력(all)
-f : 지정된 파일이 포함된 패키지 출력(focus)
-c : 해당 패키지의 설정 파일이나 스크립트 출력(config)
-d : 해당 패키지의 문서파일 출력(document)
-R : 패키지의 의존 출력(requires)
rpm 명령어 조합
-qlp :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과 파일의 정보 출력
-
-qfp
-qdp
-qcp
---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만큼 증가시킨다.
$ nice -10 bash
- : 증가
-- : 감소
---
grep 명령어
-c : 문자열이 있는 라인수 출력(count)
-v : 문자열이 제외된 라인 출력(invert-match)
-i : 문자열의 대소문자 구분 않음
---
$ yum info PACKAGE : 패키지에 대한 정보 출력
$ yum search STRING :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 출력(패키지 키워드 검색)
---
대상 프로그램을 파생시키는 방법을 지정하는 Makefile이라는 파일을 읽어 들여서
소스 코드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빌드하는 과정
# ./config : 환경설정, 의존성 체크 makefile (설치지침 환경설정) 만듦
# make : makefile 지침에 따라 자동으로 빌드
# make install : install 세션만 실행
# make clean : 컴파일로 생성된 바이너리 파일 삭제
---
pkill : 지정한 패턴을 이용하여 일치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
$ pkill [OPTION] [PATTERN]
---
fg, bg